2025년 5월 1주차 뉴스클리핑 | |
---|---|
작성자 : a3security 작성일 : 2025.05.07 조회수 : 3 | |
“북한 해커들, 사이버 범죄에 러시아 인터넷 IP 이용" (25/04/26) 보고서는 “상업용 가상 사설 네트워크(VPN) 서비스, 프록시 서버 등을 갖춘 대규모 익명의 네트워크에 의해 숨겨진 러시아 IP인터넷 프로토콜(IP) 주소 대역이 하산과 하바롭스크에 있는 두 회사에 연결돼 있었다”고 지적했음. https://www.spnews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94738 "SKT 유심 해킹 악용 피싱·스미싱 공격 주의" (25/04/27) 출처가 불분명한 사이트 접속을 자제하고, 개인정보 입력을 피해야 한다는 경고임. 27일 과기정통부와 KISA는 이날 "유심 무상 교체", "유심보호서비스" 등을 사칭해 외부 피싱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힘. https://it.chosun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023092139346 SKT 해킹에 쓰인 ‘BPF도어’ 악성코드는 무엇? (25/04/28) 중국 APT 그룹 ‘레드멘션(Red Menshen)’ 이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음.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은 BPF도어 관련 위협 정보를 공유하며 주의를 당부했음.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137027&page=1&kind=1 스마트폰 USB 충전, 신종 공격으로 다시 위험…공공 시설 충전 피해야 (25/04/29) 이번에 밝혀진 신종 공격 기법은 ‘초이스 재킹(ChoiceJacking)’이라 불리며, 특수하게 조작된 충전기만으로도 사용자의 동의 없이 데이터 탈취와 접근 권한 획득이 가능함. https://www.autodaily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530594 현대차도 해킹 당했다…일부 임직원 정보 유출 (25/04/30) 현대차그룹의 설명임. 현대차그룹은 침해 사고에 사용된 IP 주소(인터넷 주소)를 차단하고, 유출 가능성이 있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했음. https://www.hankyung.com/article/2025043069891 “유심 도착” 문자 눌렀다간…개인정보 통째로 털린다 (25/05/01) 정식 문자인 것 처럼 '본인확인 절차'를 가장한 링크를 누르게 하는 방식임. SK텔레콤측은 “정상적인 유심 입고 안내 문자엔 어떤 형태의 인터넷 주소(URL)나 링크도 포함되지 않는다"고 밝혔음. https://www.yeongnam.com/web/view.php?key=20250501026334073 SKT 해킹으로 난리인데…알바몬도 이력서 정보 ‘2만4000건’ 털렸다 (25/05/02) 알바몬은 2일 홈페이지에 ‘개인정보 유출 관련 사과 말씀드립니다’라는 제목의 사과문을 게재했음. https://www.sisajournal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32164 |
|
이전글 |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정 |
다음글 | 다음글이 없습니다 |